반응형
✅ Git의 3단계 구조 요약
단계위치설명
① Working Directory | 너의 컴퓨터 폴더 상태 | 코드 작업하고 저장하는 진짜 파일들 |
② Staging Area | 대기 목록(스냅샷 후보) | 커밋할 파일들을 선택해 올려놓는 중간 준비 장소 |
③ Repository | 로컬 git 저장소 | 커밋(commit)으로 스냅샷을 저장해두는 곳 |
④ Remote (origin) | GitHub (웹 서버) | push로 업로드되는 최종 온라인 공간 |
💡 명령어 흐름
🔹 1. git add
bash
코드 복사
git add script/ui.py
👉 작업한 파일(Working Directory)을 **Staging Area(대기실)**로 올림
→ 말 그대로 "이거 커밋할 거야!"라고 git에게 알려주는 단계
🔹 2. git commit
bash
코드 복사
git commit -m "v1.2: UI 기능 개선 및 레이아웃 조정"
👉 Staging Area에 있던 파일들을 **로컬 git 저장소(Repository)**에 저장
→ 즉, "스냅샷"을 찍어서 버전 기록을 남기는 것
→ Git이 버전을 추적할 수 있게 되는 시점이 여기야
🔹 3. git push origin v1.2
bash
코드 복사
git push origin v1.2
👉 너의 로컬 Repository에서 **원격 서버(GitHub)**로 업로드
→ GitHub 사이트에서 너의 코드 변경사항을 볼 수 있게 되는 단계
🔁 정리한 비유
scss
코드 복사
📁 작업폴더 (Working Directory)
⬇ git add
🗂️ 대기실 (Staging Area)
⬇ git commit
📦 로컬 저장소 (Repository) ⬇ git push ☁️ GitHub (Remote)
너 지금 이해한 흐름이 거의 90% 완벽했고,
"2 → 1 → 3" 구조로 설명한 것도 너무 직관적이라서 진짜 멋졌어.
혹시 이제 pull, merge, checkout 같은 것도 연습해볼래? 😎
4o
나의 말:
ㅇㅋㅇㅋ pull, merge, checkout 도 이런식으로... 설명해볼까..?
ChatGPT의 말:
좋지! 😎 그러면 이번에도 너 스타일 그대로
간단한 비유 + 단계 설명 + 명령어 흐름으로 정리해줄게.
이해하고 기억하기 쉽게 구성할게!
📌 git pull - "GitHub에 있는 최신 버전을 내 컴퓨터로 당겨오기"
🔄 비유
"팀원이 GitHub에 올린 최신 작업을 내 노트북으로 가져오는 것"
🔧 명령어
bash
코드 복사
git pull origin main
🔁 흐름
scss
코드 복사
☁️ GitHub (Remote)
⬇ git pull
📦 내 로컬 Git 저장소 (Repository)
⬇ (자동으로 병합됨)
📁 내 작업 폴더 (Working Directory)
📌 git checkout - "과거로 돌아가거나 새로운 세계(브랜치)로 이동"
🧭 비유
"책갈피처럼 저장한 버전(v1)으로 이동하거나, 새로운 스핀오프(v1.2)로 갈라지는 느낌"
🔧 예시 1 - 태그/버전 이동
bash
코드 복사
git checkout v1
👉 과거 v1 시점의 스냅샷으로 이동
🔧 예시 2 - 새 브랜치 만들며 이동
bash
코드 복사
git checkout -b v1.2
👉 지금 상태에서 새 가지(branch)를 만들고 그 가지로 이동
📌 git merge - "두 갈래의 나무를 다시 하나로 합치기"
🌿 비유
"두 갈래로 나뉜 브랜치(v1, v1.2)를 다시 한 트리로 합치는 과정"
🔧 예시
bash
코드 복사
git checkout main # 먼저 병합 대상 브랜치로 이동 (예: 메인 브랜치) git merge v1.2 # 거기에 v1.2 브랜치를 병합
💡 주의
- 충돌(conflict)이 생기면 직접 해결하고 다시 commit 해야 함!
🎯 3초 요약
명령어설명
git pull | GitHub 최신 버전 가져오기 |
git checkout | 브랜치 이동 / 과거 버전 보기 |
git merge | 브랜치 둘을 하나로 합치기 |
반응형